과연 그럴까요? 현재 정부여당의 모습은 분명 2014년보다 퇴행적입니다.
외교부는 중국의 부당한 조치의 철회를 촉구하고.중국의 조치가 지난 9일 박진 외교부 장관과 신임 친강(秦剛) 외교부장의 첫 전화 통화 다음 날 이뤄진 것도 어색하기 짝이 없다.
입국 전후에 코로나 검사를 의무화한 데 따른 보복 차원으로 풀이하는 시각이 다수다.하지만 중국에 입국 제한을 가한 16개국 중에서 유독 한국과 일본에 대해서만 중국이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하면서 차별적 보복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.주권과 국민 안전은 적당히 타협할 수 없는 문제다.
방역 당국은 춘절(중국 설) 연휴를 전후해 코로나 유입 동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탄력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기 바란다.지난해 12월 중국인들이 정권 퇴진을 외치며 ‘백지 시위를 벌이자 다급하게 ‘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면서 확진자가 폭증해 전 세계가 불안에 떨어야 했다.
주미대사 시절 공세적인 ‘전랑(戰狼·Wolf-warrior.
한·미·일 안보협력 강화 움직임을 견제하기 위한 중국의 선택이 아니냐는 의심까지 사고 있다.학자들은 그 원인을 생각해 봤다.
최훈 주필 힘든 게 맞다.‘책임 아닌 ‘계승이다.
뒤이을 정신적·물질적 손실은 두렵기 마련이다.자신의 잘못과 책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 말이다.